문제 설명
array의 각 element 중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을 반환하는 함수, solution을 작성해주세요.
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 배열에 -1을 담아 반환하세요.
제한사항
- arr은 자연수를 담은 배열입니다.
- 정수 i, j에 대해 i ≠ j 이면 arr[i] ≠ arr[j] 입니다.
- divisor는 자연수입니다.
- array는 길이 1 이상인 배열입니다.
입출력 예
arr divisor return
[5, 9, 7, 10] | 5 | [5, 10] |
---|---|---|
[2, 36, 1, 3] | 1 | [1, 2, 3, 36] |
[3,2,6] | 10 | [-1]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#1
arr의 원소 중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는 5와 10입니다. 따라서 [5, 10]을 리턴합니다.
입출력 예#2
arr의 모든 원소는 1으로 나누어 떨어집니다. 원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[1, 2, 3, 36]을 리턴합니다.
입출력 예#3
3, 2, 6은 1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.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가 없으므로 [-1]을 리턴합니다.
문제만 읽었을때는 뭘 해야하는지 이해가 안됐지만 예제를 보니 이해가 된다.
배열값에 자연수를 넣고 나눴을때 떨어진다면 배열에서 맞는 숫자를 골라 리턴하기
없으면 -1 리턴하기
문제를 이해한 다음 생각난건 3개였다. %, push(), sort()
이제 빠지면 섭섭한 For문을 사용해 볼 생각이다.
function solution (arr, divisor) {
let answer = [];
for (let i = 0; i < arr.length; i++){
if(arr[i] % divisor === 0 ) {
answer.push(arr[i]);
} else {
return -1
} return answer.sort()
}
이렇게 쓰면 되겠구나 라는 자신감을 가지고 돌려보았으나 역시나 틀렸다고 한다.
위에 코드를 임의 값을 넣고 돌리면 리턴을 -1로 해준다.
sort()의 사용법이 잘못인가 찾아보다 이건 몰랐던 지식을 얻게 됐다.
웹개발 종합반 강의에 sort() 를 내림차순 적용하기 위해 사용했을때는 -1의 값을 넣었던것으로 기억했다.
오름차순은 반대니까 생략하면 되는줄 알았으나 오류가 있다는걸 알게됐다.
ex) 1, 10 , 2, 15, 33 , 12 를 sort()하면
1, 11, 12, 15, 2, 33 이런식으로 앞의 숫자 차순으로 정렬해준다.
.sort((a, b) => {return a - b}) // 를 적용해야 정상적으로 나오게 된다.
물론 이방법을 적용해도 내 답안은 틀렸기때문에 풀이를 보게됐다
언제쯤이면 내머리로 문제를 풀 수 있을지 걱정된다.
function solution(arr, divisor) {
var answer = []; //배열 선언 셋팅
for (let i = 0; i < arr.length; i++) {
if (arr[i] % divisor === 0) { // 나눴을때 나머지가 0인 조건
answer.push(arr[i]) // 있다면 answer에 더해라
}
// arr[i]%divisor === 0 ? answer.push(arr[i]) // 이부분은 if문 삼항연산자 적용해보려다 에러나서 포기했다.
};
answer.sort(function(a, b){
return a - b
}) // 차순정렬 // 그냥하면 1, 11, 12, 2, ...
if (answer.length === 0) { // 위에 if 조건에서 나머지가 0이 아닌애들은 -1을 더해주라.
answer.push(-1)
}
return answer;
}
// console.log('결과는' + " " + solution([5, 9, 7, 10], 5)) // [5, 10]
고민을 오래하기보다 깊게해보고 모르면 답을보면서 새로운 함수들을 찾아익히는거 재밋긴하다